문제링크 : https://www.acmicpc.net/problem/14607#include using namespace std;typedef long long ll;typedef pair pii;const int MAX = INT_MAX;ll N;int main(){ ios_base::sync_with_stdio(0); cin.tie(0); cin >> N; cout 백준 14606번과 유사하지만 N의 범위 때문에 14606번을 풀었던 점화식을 그대로 사용한다면 메모리 초과가 발생하는 문제이다.참고링크 : https://blob-thinking.tistory.com/386 [백준 14606번] 피자 (Small) (C++)문제링크 : https://www.acmicpc.net/pr..

게임 종료하기이제 전반적인 기능을 만들었으니, 게임을 종료하는 방법도 다뤄보자.이와 관련된 클래스는 게임모드에서 다루게 된다. 게임모드는 게임과 관련된 규칙을 다루게 되기 때문에 기본적인 죽음에 대한 PawnKilled 함수를 기본 게임모드에 virtual로 생성하고, 또 다른 게임모드를 만들어 해당 함수에 오버라이딩하도록 구현할 것이다.우선 강의에서는 C++로 생성하였기 때문에 게임모드가 있다고 하였으나 놓친 부분이 있는지 내 환경에는 보이지 않아 따로 만들어주었다. 여기서 이제 Pawnkilled 함수를 구체적 내용은 구현하지 말고 몸체만 선언해주자. 이제 해당 게임모드를 기반으로 다시 오버라이딩 할 서브 게임모드를 만들어주자. 그리고 해당 게임모드 클래스에 PawnKilled를 호출해야 할 위치를 ..